본문 바로가기

한북정맥/한북정맥 지맥

왕방지맥의 올바른 루트

 

왕방지맥이 사실은 소요지맥으로 불리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왕방산은 소요산의 그늘에 묻혀 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경기의 소금강이라 하여 암봉과 화려한 산세가 일품인 동두천의 진산 소요산.

그 소요산의 명성을 조금 뒤로 물러나게 한 산이 왕방산으로서 그 왕방산의 이름을 세우게 된 데에는 산경표가 한 일이 컸습니다.

즉 산경표의 원리를 깨우친 산꾼들은 정맥의 하위 개념으로 30km이상의 산줄기에 '지맥'이라는 개념을 부여하기에 이르렀고 그 줄기를 찾아 온 나라의 지맥을 다 지도에 그리고 집대성 한 이가 바로 박성태 선생입니다.

실로 우리나라 산줄기사에 있어서 선생의 공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할 것입니다.

하지만 냉철하게 선생의 작업 내용을 들여다 보면 조금은 실수 혹은 중요한 점을 놓친 부분이 눈에 띕니다.

그런 아쉬운 부분을 들추어 내는 것은 선생의 업적에 누를 끼치게 되는 것이고 혹시나 선생을 폄하려는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말들은 우선 경계합니다.

이는 선생을 누구보다도 존경하는 후학으로서 이런 작업은 선생의 훌륭한 치적을 더욱 높게 평가하는 작업이 될 것이라는 점을 우선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이 작업이 선생의 연구 결과에 터를 잡은 것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한북정맥의 축석령 부근에서 분기한 왕방지맥을 봅니다.

축석령에서 00교회를 지나 1km를 더 진행하면 삼거리를 만납니다.

여기서 좌틀하는 길이 정맥길이지만 우측으로 산책길을 따라 마냥 편하게 진행하는 줄기가 왕방지맥입니다.

신산경표에서는 이 왕방지맥은 여기서 회암령~왕방산~국사봉~개미산을 지나 영평천으로 잠기는 도상거리 37.7km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왕방지맥 지도

 

위 지도에서 보시다시피 왕방지맥은 한북정맥에서 갈라지면서 신천을 낳습니다.

그 이야기는 왕방지맥은 신천이 그 보다 더 상위개념의 강이나 천과 만나는 두물머리에서 그 맥을 다하여야 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즉 기존의 노란선인 왕방지맥 줄기는 588.4봉에서 좌틀하여 신천과 만나는 두물머리여야 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