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G TWINS/지리산 둘레길

지리산 둘레길 제8구간 예습하기

7구간의 날머리이자 제8구간의 들머리인 운리마을은 이름이 갖는 뜻 그대로 구름과 관련이 있는 마을이다. 西는 지리태극종주능선이, 은 덕천(웅석)지맥이 그리고 북은 웅석봉이 가로막고 서 있으니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은 남사천을 따라 입석리로 드나드는 통로가 유일했을 것이다. 그나마 언덕이 조금 낮은 곳인 백운산 들머리나 마근담재 등을 이용하여 사리나 백운동으로의 탈출은 그나마 답답한 숨통을 트여주는 역할을 하였을 것도 같다.

그 길로 고운이나 휴정, 유정, 김일손, 남명 조식, 성여신 등 이름만 대면 누구나 다 알만한 인물들이 출입하던 곳이라 생각하니 그들이 그리워진다. 어쨌든 분지 형태의 운리는 풍부한 수량의 남사천이나 지맥 능선 너머 경호강 덕에 아침이면 안개 혹은 구름이 덮인 고즈넉한 분위기를 연출하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그래서 운리雲里이다. 이런 기후 조건에는 감 농사가 제격인가? 산이 온통 감나무 단지이다.

 

이 구간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백운계곡과 남명 선생으로 대변되는 사리마을 즉 덕산이다. 지명만으로도 대강의 분위기를 읽을 수 있는 운리, 백운, 마근담, 덕산이다. 실제는 어떨까?

 

슈퍼와 버스정류장이 있는 *운리 주차장을 출발하자마자 개천을 건너 바로 우측으로 들어가 SK텔레콤 이동기지국을 지난다.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원정마을의 당산나무가 둘레꾼을 맞이해 준다. 마을 한가운데로 지난다. 좌측의 낮은 봉 우측으로 틀어 우측에서 내려오는 산자락 사이로 진행한다.

 

* 광제암문 각자를 보려면 둘레길을 벗어나 1001번 도로를 따라 1.5km 정도를 더 내려가야 한다.

콘크리트 수로를 우측에 두고 진행하면서 해체된 아스팔트를 무분별하게 깔아놓은 임도를 따르면 정자가 있는 쉼터를 지나게 되는데 여기서 지나온 길을 돌아볼 수 있다. 운리 마을이 낮게 자리하고 있는데 둘레길은 그 뒤에 있는 작은 봉우리 우측으로 돌아 나왔다. 그 봉우리 뒤가 탑동마을이고 거기에 단속사지가 있다. 지난 구간 성심원을 빠져나오면서 보았던 중앙에 뾰족하게 튀어나온 792.8봉을 이번에는 반대방향에서 보게 된다. 그 우측에 움푹 파인 곳이 한재로 어천마을에서 넘어오는 1001번 도로가 지나는 곳이며 웅석봉에서 석대산을 잇는 고개이다.

그 우측으로 시선을 돌리면 아까는 높아서 보이지 않던 석대산535.5m 정상 부분도 어느 정도 제 모습을 보여준다.

임도를 따라가는 길은 좀 무료하다 싶다. 정자 쉼터를 떠나 그렇게 10여 분 꾸불꾸불한 임도를 걷다보면 좌측으로 돌계단이 보이는데 둘레길 이정목은 그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임도를 버리고 돌계단으로 밟고 올라선다. 주의를 요하는 곳이다.

이제부터 둘레길은 좁아진다. 계단을 오르자마자 평탄한 길이 이어지며 우측 언덕에서 내려오는 길이 보이는가 싶더니 그 길은 좌측 언덕으로 올라간다. 그러고 보니 이곳이 조금 지대가 낮다. 백운산 갈림길로 이른바 백운산 갈림 사거리이다. 아주 중요한 곳이다. 여기서 지리 3대 지맥 중 하나인 덕천(웅석)지맥을 만나게 되고 최근 지태꾼들에 의해 회자되고 있는 진양태극종주루트를 만나게 되는 곳이다. 여기서 약 5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백운산은 웅석봉을 지난 덕천(웅석)지맥이 삼장면 법계리와 덕산면 운리의 경계에 있는 960.6봉에서 가지를 친 줄기에 있는 산이다.

 

지맥이니 태극종주니 하는 얘기들은 뒤로 미루고 여기서는 백운산 얘기 좀 해야겠다. 복습을 하자는 것이다. 백운산은 여기도 있지만 지난 번 남원시 산내면 중황리에서 등구재를 오르며 우측으로 백운산904.1m을 보았으며 제15구간을 할 때 화개를 지나면서 섬진강 건너의 호남정맥의 피날레를 장식하고 있는 백운산1228m을 볼 수 있다. 몇 개만 더 짚어볼까? 경상남도 함양과 전라북도 장수의 경계에 있는 백두대간 상 백운산1278.9m, 제천시 백운면에 있는 섬강지맥 상의 백운산1086.1m 그리고 경기도 이동면과 강원도 사내면 경계인 한북정맥상의 백운산903m 등이 굵직한 명함을 내민 우리나라의 주요 백운산들이다. 하나같이 그 지방에서는 고봉이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굵직한 산들인데 ᄇᆞᆰ사상과 무관치 않아서라고 보면 된다.

 

정상석 뒷면을 본다. ‘흰 구름이 봉우리에 걸리고….’

“형. 이거 아주 웃기는데. 마치 백두산 얘기 같네. 산이 높아 사시사철 정상부가 눈에 덮여 있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게 됐다는.”

일반인들도 사실 백운산하면 흰 ‘백(白)’자에 구름 ‘운(雲)’자를 쓰니 그렇게 느낄 수밖에 없기는 하다.

“일반적으로 그렇게 이해를 하지. 근데 무슨 말이 하고 싶어서?”

“형도 알잖아. 형같이 열렬한 육당 팬인 사람이.”

“‘ᄇᆞᆰ’ 사상 얘기하려는 거야? 좀 들어보자. 사실 불함문화론(不咸文化論)에 대해서 아직 정리가 잘 안 되서 말이야.”

 

독립운동가로 활동을 하던 육당 최남선은 그 유명한 ‘독립선언문’ 작성으로 일제에 의해 투옥되었다가 1921년 10월 18일 가출옥을 한다. 가출옥이란 곧 ‘회유’의 다른 말이었다. 그는 1925년 ‘불함문화론’을 내놓는다. ‘불함’이란 ‘ᄇᆞᆰ’ 즉 광명, 하늘, 신(神), 태양을 뜻하는 말이다. 육당은 단군사상으로 상징되는 우리의 천신숭배사상 즉 ‘ᄇᆞᆰ’사상이 고대 중국과 일본뿐 아니라 유라시아 전역에 걸쳐 퍼져나갔다고 주장했다. 이 ‘ᄇᆞᆰ’사상의 ‘ᄇᆞᆰ’의 한자어가 바로 ‘백(白)’이라는 논지다.

그러면서 이 ‘백(白)’자 계열의 땅 이름 중 가장 먼저 지목한 곳이 바로 민족의 영산 백두산이다. 애당초 하느님의 아들 환웅이 홍익인간의 뜻을 품고 3천 명의 무리를 데리고 내려온 곳이 바로 태백산(太白山)이고 이 태백산이 바로 백두산(白頭山)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이 백두산의 원래 이름은 ‘ᄇᆞᆰ뫼’나 혹은 그 비슷한 이름이 한자어가 들어오면서 ‘ᄇᆞᆰ’에 존경의 의미를 내포한 두(頭)를 붙여 백두산이 되었을 것이라는 거다.

 

“우리 민족의 산악숭배사상은 좀 알아줘야 해. 그리고 예로부터 각 부족은 이렇게 자신들 고유의 신격화 된 산, 즉 ‘ᄇᆞᆰ산’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지. 그 부족들이 통폐합 되는 과정에서 이 ‘ᄇᆞᆰ산’ 서열의 높낮이도 결정이 됐고. 그러니 우리나라의 최고 대장인 산은 백두산이 될 수밖에 없었다는 거야. 물론 ‘백’자가 들어간다고 해서 모두 이 ‘ᄇᆞᆰ’에 해당한다고는 볼 수가 없지만 유별나게 ‘백’자 계열의 산 이름이 많다는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는 거지.”

“맞아, 형. 그리고 그 ‘ᄇᆞᆰ’이 시간이 지나고 또 지역에 따라 조금씩 변하게 되었는데 ‘박’, ‘발’, ‘밭’ 등이 그 예잖아. 제천 부근에 있는 박달재의 박달재도 ‘ᄇᆞᆰ+달(高)+재(岾)’의 조합이라는 것이고.”

“그래. 우리가 이 대간길을 진행하다 보면 박달령이라는 고개 이름도 많이 나와. 박달령의 다른 이름인 단목령도 보게 되고. 그러니 앞으로는 ‘박달나무가 많아서 박달령이다.’라는 말은 삼가자!”

“그럼 이 백운산의 경우는 어떤 뜻인 거야?”

“그러니까 백운(白雲)은 ‘ᄇᆞᆰᄋᆞᆫ’ 혹은 ‘ᄇᆞᆰᄋᆞᆫ애’에서 왔다고 하는 견해가 있어. 곧 천계(天界)를 뜻한다는 거지. 그게 신의 세계, 신의 산이라는 뜻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제(司祭) 즉 남자무당을 뜻하는 ‘박수’로 되기도 했고 여러 전형(轉形)으로 백운(白雲), 백암(白巖)이 생기게 된 것이지. 그냥 간단하게 ‘신의 산’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아. 신령스런 산이라는 거지.”

 

 - 졸저 '현오와 걷는 백두대간' 110쪽

 

참나무 군락지를 지나는데 좌측 참나무 사이로 백운산이 얼핏 모습을 보여준다. 좁은 사면을 따라 조심스럽게 진행하면 좌측으로 계곡 물소리가 시끄럽게 들려온다. 깨진 바위들로 둘레길을 만들어 놓은 작은 너덜지대를 지나자마자 바로 백운천이다. 경상대학교에서 만들어 놓은 안내판이 눈길을 끈다.

경의敬義는 남명 학문의 양대 지표

 

백운동까지 왔으면 이제 남명의 고장 덕산에 다다랐다는 얘기가 된다. 조선시대로 들어오면서 지리산이 배출한 걸출한 선비. 바로 남명 조식(1501 ~ 1572)이다. 남명의 사상과 삶은 실천을 강조한 경의敬義로 대변된다.

즉 안을 밝히는 것을 경, 밖을 결단 하는 것이 의라고 보아 이 경의敬義를 그의 학문의 양대 지표로 삼았던 것이다. 덕산에 산천재를 짓고 살았으니 늘 가까이 보이는 지리산 천왕봉은 그에게는 구도의 극처極處였다. 독실한 수신修身의 방법으로서 경을 중시한 것은 퇴계 이황과 같으나 철저한 실천의 방법으로서 을 강조했던 조식의 유풍儒風은 그의 제자들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져 남명학파를 일구게 된다.

그러고 보니 이제 경상대학교는 지리산은 물론 남명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되어 버린 것 같다. 최석기 교수나 최원석 교수 그리고 강정화 교수 등의 연구 활동 덕일 것이다. 짐작건대 그들의 지리산에 대한 열정은 남명 조식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됐을 것 같다.

그들이 안내판에 소개한 남명의 시 한 수를 감상한다.

 

天下英雄所可羞 천하영웅소가수 천하 영웅들이 부끄러워하는 바는

一生筋力在封留 일생근력재봉류 일생의 공이 유()땅에만 봉해진 것 때문

靑山無限春風面 청산무한춘풍면 끝없는 청산에 봄바람이 부는데

西伐東征定未收 서벌동정정미수 서쪽을 치고 동쪽을 쳐도 평정하지 못하네.

 

대부분의 중국 한시漢詩가 그러하듯 우리나라의 한시에도 여러 가지 얘기가 곁들어 있어 그걸 이해해야 올바른 감상이 가능하다. 부끄러운 얘기지만 그 얘기라는 것도 대개 중국인들에 관한 얘기들이다. 이른바 중국 고사故事. 이 시도 거기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인터넷을 검색하여 그 해설을 본다. 예상대로 중국 얘기다. 그것도 한나라 때 얘기다. 얘기인즉슨 한나라 고조가 공신功臣들을 책봉할 때 장량張良에게 제나라 땅 3만호에 왕을 봉하였다. 그러나 장량은 유땅에 봉해지는 즉 유후留侯만으로 충분하다며 사양하였다. 그 후 장량은 모든 걸 다 버리고 적송자赤松子를 따라 신선술을 배워 일생을 깨끗이 보전하였다. 그러나 사양할 줄 몰랐던 한신과 팽월 등은 천하를 평정하지도 못하고 결국 토사구팽兎死拘烹을 당하고 말았다. 이것을 두고 한신이나 평월 같은 천하 영웅들은 장량에게 부끄러움을 느꼈을 것이라는 얘기다.

 

명종의 등용에 자신의 무능을 내세워 *상소문 즉 이른바 단성소丹城疏를 올리면서까지 애써 벼슬을 고사하는 남명과 비견되는 대목이다. 결국 장량을 닮고자 하는 선생의 뜻을 읽을 수 있는 한 수의 시이다.

 

* 남명은 두 가지 이유를 내세워 벼슬을 마다했다. 첫째 나이도 많고 학문도 거칠며 무능함을 내세웠고 둘째는 당시 조선 정부가 부정부패로 어지러운데 남명이 벼슬을 한다 해도 혼자의 힘으로 변혁을 도모할 수 없음을 들었다. 그러고는 더 유능한 사람을 등용하여 왕도정치를 행하라는 비판도 아끼지 않았으니 이 글은 남명의 기개와 그나마 남아 있는 조선의 언로 문화를 살필 수 있는 명문장이다.

계곡의 물이 너무도 맑고 물가의 너른 반석이 꾼을 붙잡는다. 이 물은 백운천이 되어 덕문교 아래에서 덕천강에 흡수될 것이다. 백운폭포를 위시하여 목욕을 하면 모든 걸 알게 된다는 다지소’, 다섯 개의 폭포와 담이 있다는 오담폭포’, 물살이 하늘로 오른다는 등천대가 있는 이곳은 사실 남명 선생의 놀이터였을 것이다. 그래서 이 백운동을 달리 삼유동三遊洞이라고도 부른다.

 

이곳에서 민박집이나 식당이 있는 백운마을 까지는 약 2km를 더 내려가야 한다. 백운마을은 백운산 아래에 있으니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사실 이 백운동은 남명이 산천재에 터를 잡기 전 말년을 지낼 자리를 물색하러 다니던 중, 한 번 들렀던 곳이란다. 산천재에 터를 잡은 후 두 번 더 들렀다고 하니 무던히도 백운계곡에 갈증을 느꼈던 듯싶다. 그래서 삼유동이란다.

 

백운동은 남명 선생 놀이터?

 

그런데 사실 이런 말은 믿기 어렵다. 선생은 이 백운동을 유람하며 소나무 한 그루를 심어 시의 소재로까지 삼았음은 물론 후학들이 선생이 쉬던 곳이라 하여 각자까지 해놓았다. 시를 좋아하고 사람 좋아하고 자연을 즐기는 선생이 그 더운 여름의 복날 이곳을 뿌리치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았을 것 같다. 물론 산천재에 터 잡은 때가 선생의 말년이니 거동이 예전만큼 했겠냐 하는 반론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선생의 지리산 사랑은 남다르지 않았겠는가! 그저 삼유동三遊洞은 유별나게 ‘3’이라는 숫자를 즐기는 우리 민족이 습관적으로 쓰는 숫자라 생각하고 넘기자.

바쁜가? 좀 바쁘더라도 여기까지 왔으니 20분 정도만 더 시간을 내서 백운동 아래로 내려가자. 그러면 남명선생 장구지소 가는 길이라는 안내판이 둘레꾼을 반겨 준다. 남명 선생은 지리산으로 오르기 위해 이곳을 한 번 찾았다고 유두류록에 적고 있다. 선생이 유두류록을 쓴 해가 1558년으로 선생의 나이 57세일 때이고 4년 후 산천재에 뿌리를 내렸으니 굳이 지리산을 오르기 위해서는 아니더라도 그 후 10년 간 지척인 거리에 있는 백운동의 답사 횟수는 헤아리기 쉽지 않을 것 같다. 이를 뒷받침 하는 근거가 바로 이 각자이다. 선생이 여기 와서는 지팡이를 놓고 신발을 벗고 쉬어갔다는 南冥先生杖屨之所라는 각자刻字이다.

 

사실 남명 선생은 바위에 이름을 새겨 자신을 만고에 알리려는 선비의 정신을 비판했다. 지난 구간 자세히 본 부사 성여신 역시 스승인 남명의 제명題名에 대한 비판을 언급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자신도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피력했다. 반면 점필재 김종직은 쑥밭재를 지나면서 바위에 이름을 새기게 했으며 감수재 박여량은 상류암 암자의 벽에 일행들의 이름을 썼으니 남명과는 생각이 좀 달랐던 것 같다.

 

그렇다면 선생이 별로 내키지 않아했던 각자 행위는 누가 했을까? 살펴보니 백운동칠현이라는 선비들의 이름이 나온다. 1893년 단성 법물에 거주하던 백운동칠현 중 1인인 물천 김진호(1845~1908)는 스승의 문집인 선재집 장판각을 마치고 백운동에 들어와 평소 존경해 마지않던 남명의 흔적을 남기고 싶어 한다. 그러고는 기억 속의 문창대 같이 南冥先生杖屨之所라고 그 각자를 흉내 냈다. 이게 그 각자인 것이다.

너무 길어지니 일단 덕산에 들어가서 선생을 다시 만나기로 하자. 목장승의 배웅을 받으며 산죽 밭으로 들어선다. 그 백운동 계곡을 나서자마자 만나는 곳. 바로 도상 거리 약90.5km의 지리태극종주 길이다. 지리태극종주의 정통 코스인 구인월 ~ 수양산 코스라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 이 지리태극종주 코스에 변화가 생겼다. 즉 취미들도 고상하고 제각각인 산꾼들은 지리태극종주의 한 끝을 네 군데로 나눠서 진행을 하는 것이다.

5부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 지리태극종주길 더 자세히는 수양태극종주길과 헤어지면서 단성면을 버리고 이제부터는 삼장면이다. 표지띠가 날리는 좌측 수양산 방향을 확인하고는 직진을 한다. 소로를 따라 걸으면 시멘트 임도를 만나게 되고 이내 마근담 임도 안내판도 볼 수 있다.

마근담은 막힌 담이라는 말이라고 하거나 마을의 생김새가 의 뿌리모양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왔다고도 하는데 영 믿음이 안 간다. 두 채의 민가와 정자가 있는 삼거리에서 크게 좌회전하여 지루한 길을 걷는다. 우측 계곡으로 흐르는 물소리만 시끄러울 뿐 잡목에 가려 그 계곡의 모양도 확인하기 어렵다.

좌측으로 가건물을 두어 동 보며 걷다보면 우측으로 상당한 양의 양봉 벌통이 보이면서 민가가 나오기 시작한다.

마근담교를 건너면 우측으로 수천 는 될 법한 정원에 수석전시장을 방불케 하는 아주 아름다운 집을 지나게 된다. 바로 좌측으로는 지리태극 능선길의 수양산이 바짝 붙어 따라온다. 문수암을 지나고 좌측 감나무 단지를 지나면서 시무산으로 올라가는 능선이 보인다. 마을을 빠져나오면 20번 도로와 만난다.

입덕문은 스승을 만나러 들어가는 문

둘레길은 우회전 하여 인도를 따라야 한다. 하지만 여기서 잠깐만 외도를 해야겠다. 중요한 공붓거리를 놓치기 아쉬워서이다. 이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면 덕산교를 지나 지리태극종주의 끝이자 시작인 시무산으로 오르는 등로가 보이고 조금 더 내려가면 곡점13km, 시천4km’의 교통 표지판 좌측으로 수준점(105.6m, 점의 번호01-00-31-02) 옆에 *입덕문入德門이라는 각자가 새겨진 표지석이 보인다.

 

 * 입덕문기를 보면 남명 선생이 1561년 삼가에서 이 덕산으로 이사를 올 때 천연석문이 있던 이곳을 입덕문이라 부른데서 유래한다고 했다. 덕산德山 즉 지리산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데서 지은 이름인 것이다. 일반적인 풀이인 '입덕入德'은 ‘중용’에 나오는 말로 '성인의 덕으로 들어간다.'는 뜻일 게다.

예전에는 *덕천벼리德川遷라 하여 좁은 석문이 있었던 곳이라 한다. 일반 백성들은 이곳을 두류산 온갖 골짜기로 드나들 수 있는 입구로 여겼겠지만 남명을 흠모하는 선비들은 스승의 체취가 남아 있는 덕산으로 들어가는 문이라 여겨 몸가짐을 새롭게 하는 곳이었으리라.

 

  * 덕천의 골짜기 물은 두 산의 협곡 사이를 빠져나간다. 시내를 따라 5~6리를 가다 보면 돌을 깎아놓기도 하고 흙을 붙여 놓기도 하면서 겨우 통행할 수 있는 길이 있는데 덕천벼리라 한다. 도구 陶丘 이제신李濟臣(1510~1582)이 바위 면에 '입덕문入德門' 세 글자를 새겨 놓았으니 덕산으로 들어가는 자는 모두 이 길을 말미암기 때문이다 - 김선신, 두류전지

 * ‘비리’, ‘벼리’란 ‘벼루’의 사투리이다. 강이나 바다의 벼랑을 얘기하는데 문경새재의 토끼비리가 가장 유명하다.

 * 이 각자를 쓴 이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남명학연원에서는 두류전지 기록에 의하여 도구라고 하였는데, 이에 분성배씨 종친회가 분연히 들고 일어난 것이다. 즉 눌암訥庵 박지서의 도구대기陶邱臺記를 보면,'德川遷公題其巖曰入德門 其後裵參知大維書而刻 덕천벼리는 공公(도구 이제신)이 그 바위의 이름을 입덕문이라 지었는데, 그 후 參知 배대유가 繼書하여 그걸 새겼다.'는 내용 때문이다. 이는 하진달(1778~1835)의 역헌문집에도 나오고, 성섭(1718~1788)의 교와문고에도 나오는 내용이라 한다. 'J3클럽'의 배병만 방장도 필자에게 이를 직접 확인해 주었다.

그 좌측 덕천강을 따라 덕산 쪽으로 올라오다 보면 너른 반석은 남명 선생이 처음 덕산동을 찾았을 때 지리산 대문 격인 이곳에서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기 위하여 갓끈을 씻었다는 탁영대濯纓臺와 제자들과 시를 나누던 곳인 덕암德巖 등이 옛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일제강점기 시절인 1930년 경 도로공사를 하면서 자연석문인 입덕문은 없어졌다.

이를 1960년경 후학들에 의해 결성된 입덕문보승계入德門保承契의 계원들이 도로변에 세워놓았던 入德門이라 새겨진 표지석을 1982년 확장공사를 하면서 안쪽으로 다시 옮겼는데 이런 내용을 담은 입덕문기도 함께 세워져 있다.

사리를 빠져나오면서 본 시무산과 수양산

다시 삼거리로 돌아가자. 마근담골 입구를 지나 우측 인도로 올라서면서 뒤를 보면 지리산 국립공원사무소가 보인다. 이제 덕산 시내로 들어서게 된다.

덕산은 곧 남명 마을이다. 비단 남명기념관,

산천재,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덕산 문화의 집 그리고 원리교 건너 덕천서원 등 굵직굵직한 남명의 흔적들이 여기저기 서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또한 천왕봉이 바로 올려다 보이고 거기서 흘러내린 물줄기 두 개가 어우러지는 산자수명한 자연의 경개景槪가 돋보여서 그러는 것도 아니다. 사실 덕산德山은 지리산 산세와 풍모의 미학적 장중함을 드러내는 표현으로 지리산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덕산이라는 마을 자체가 남명의 장중한 사상적 무게와 그가 일상에서 견지한 공경과 의로움이 깃들여져 있는 곳이다. 거기에 더하여 비록 늦은 나이인 61세 일 때이더라도 선생이 덕산 자락에 터를 정해 산천재에 거처하고 스스로를 방장산인으로 여기면서 자연스럽게 지리산과 한 몸이 된 결과 때문일 것이다.

천왕봉에서 흘러내린 세 개의 산줄기 중, 써리봉~구곡산을 잇는 황금능선이 덕산 서쪽을, 하봉 ~ 웅석봉으로 이어지는 덕천지맥의 수양산 줄기가 북동쪽을 그리고 영신봉을 지나 주산으로 이어지는 낙남정맥의 줄기가 남쪽을 감싸고 있고 그 사이로 청정지수인 덕천강과 시천()천이 흐르니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이곳이야말로 이상향으로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다는 남명의 13대손 조재영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같은 것 같으면서도 너무 다른 남명과 퇴계

사실 남명하면 대비되는 이가 바로 남명과는 갑장인 퇴계 이황(1501~1570)이다. 학창시절 우리에게 더 익숙한 인물은 물론 남명보다는 퇴계이다. 벼슬을 할 만큼 했고 도산서원까지도 세웠으며 온건하기도 한 인물로 알려졌으며 더욱이 우리가 쓰고 있는 지폐의 모델이기도 하니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할까? 제도권 안의 재조在朝세력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 모든 것들이 이 지리산으로 오면 달라진다. 퇴계뿐만 아니라 율곡이 퇴계와 함께 온다고 해도 사정은 그리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지리하면 남명이다. 누누이 강조하건대 남명은 처사적 생활로 현실을 비판하며 수기修己의 방법으로 '경의敬義'를 중시하여 '실천'을 강조하였다. 평생 관직에 나가지 않으면서 비판자적인 위치에서 현실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직설적으로 표현하는 '실천성'을 강조하였다. 반면 퇴계는 평생 관직 생활을 통하여 수하의 많은 문인들을 정계에 포진시켜 놓았던 만큼 현실 개혁보다는 안정적인 현실생활을 강조하였다. 이게 두 사람의 가장 큰 차이점일 것이다.

 

경상우도를 기반으로 호남의 유림과도 폭넓게 교류를 한 남명의 이러한 사상은 '남명학파'로 불리게 됐다. 임진왜란 당시 손주 사위인 고령의 곽재우와 김면, 합천의 정인홍, 청도의 박경신 등이 경상우도의 남명학파 의병장들이고 순천의 박성무와 김천일이 남명의 문하를 출입한 호남의 의병장들이다. 이런 그의 개방적인 사고는 불교에 대해서도 그러하여 서산대사 휴정, 사명대사 유정과도 교분을 가졌고 성리학 이외의 학문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입장을 가졌다. 이는 자칫하면 성리학 일변도에서 획일화 될 수 있는 위험성을 탈피하고자 부단히 노력했던 남명의 마음가짐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라 하겠다.

 

일찍이 성호 이익(1681~1763)"조선의 기개와 절조의 최고봉"으로 남명 조식(1501~1572)을 꼽았다. 재야의 처사로 살면서 경의敬義라는 두 글자의 독행篤行에 일생을 바친 사람으로 무사적 기상을 선비적 기품과 조화시킬 것을 강조한 그를 높이 평가한 것이다. 그러니 그의 제자들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의병으로 활약하여 국난을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음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으며 이는 또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남명의 제자 중 이순신과 관련한 중요 인물로 제1구간에서 잠깐 본 정탁鄭琢(1526~1605)이 있다.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7년 권율의 장계로 이순신이 체포 되었던 바, 이순신의 죄목은 군공을 날조해서 임금을 기만했다고 하는 공문서 위조 및 동행사 죄와 가토의 머리를 잘라오라는 군통수권자인 선조의 출격 명령에 응하지 않은 명령불복종 등이었다. 당시 선조는 이순신을 사형시키기로 작심하였었다.

그런데 당시 판중추부사로 있던 정탁은 이순신을 구명하기 위하여 상소를 올렸다. 당시 조정 내부에서 이순신은 정치적으로 고립되어 있었다. 이순신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이 조정에는 없었다는 얘기다. 류성룡만이 이순신의 인물됨과 무죄를 믿고 있었으나 그도 정쟁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적극적인 변론은 삼갔으니 결국 정탁의 상소만이 유일한 이순신의 구명을 위한 공론화 된 의견이었던 셈이다. 어쨌든 정탁의 상소로 이순신은 단 한 차례 고문을 당한 다음 결국 같은 해 음력 41일 출옥을 해 '백의종군' 길에 오르게 된다.

내암 정인홍 묘

수제자 내암 정인홍

남명 얘기가 나오면 빠뜨릴 수 없는 인물이 있다. 합천에서 의병장으로 이름을 떨쳤던 인물로 남명이 운명殞命을 하면서 김우옹에게는 경의 표시로 성성자惺惺子, 이 사람에게는 의의 표시로 검을 주었을 때의 그 내암 정인홍이다. 수많은 남명의 제자들 중에 합천 사람 내암 정인홍(1535~1623)이 자주 거론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돌이켜보면 당파 싸움의 여파로 남명학파가 한때 위축된 일이 있었다. 하지만 광해군의 등극으로 살아나는 듯싶던 남명학파는 1611년 정인홍이 회재 이언적과 퇴계 이황을 싸잡아 비판한 이른바 회퇴변척소晦退辨斥疏 사건이 터지면서 거의 궤멸의 위기까지 처하게 된다. 그러다가 인조반정1728년에 발생한 무신란으로 남명학파의 본산인 강우지역은 반역향으로 지목되면서 더욱 위축되었다.

 

회퇴변척소라.... 내암 정인홍을 알기 위해서는 기축옥사己丑獄死 사건을 얘기해야 한다. 선조 22(1589) 정여립(1546~1589)을 비롯한 동인東人들이 모반의 혐의로 박해를 받은 사건이다. 기축옥사를 두고 혹자는 조선왕조의 정치·사회적 구조 속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당연한 귀결이라거나, 지역 내 사림 사이의 갈등과 개인적인 감정 대립의 결과 또 어떤 사람들은 정여립이 당파 싸움의 희생양이지 모반사건이 아니라고도 하며, 한편에서는 모반을 하기는 했는데 거사 직전에 발각되어 실패한 미완의 혁명이라고도 하는 등 설이 갈린다.

 

어쨌든 1589년 무려 1천여 명이 희생당한 기축옥사 사건의 정확한 실체가 무엇인지 아직까지 제대로 밝혀진 것은 없다. 다만 기축옥사로 인해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은 정여립과 역모를 모의했다는 죄목으로 묘향산에서 끌려와 선조로부터 직접 국문鞠問을 받았으며, 사명당四溟堂 유정은 오대산에서 강릉부로 끌려가 조사를 받는 등 많은 인사들이 고초를 겪었다.

 

이 사건의 뒤처리는 서인西人에서도 강경파에 속했던 좌의정 정철이 담당하였는데 정철은 동인東人 중 평소 과격한 언행을 했던 인사들을 죽이지 아니하면 귀양을 보내는 등 매우 가혹하게 다스렸다. 그 때문에 그는 사건이 끝난 후 동인들에게 동인백정이라는 말로 미움을 받게 되었고 결국 세자 책봉 문제로 실각하여 유배를 가게 된다.

정철이 귀양 간 뒤에 영의정 이산해는 동인 가운데에서 정철에게 쫓겨났던 사람들을 불러들여 조정의 관직에 앉히고, 또 정철을 따르던 서인을 쫓아냈다. 이것이 신묘년에 있었던 일진일퇴의 정국이었다. 이로부터 동인이 국정을 전담하게 된다.

 

한편 이 동인은 서인에 대하여 강경파인 북인北人과 온건파인 남인南人으로 나뉜다. 이 중 퇴계의 제자들이 남인인 반면 남명의 제자들은 북인北人으로 분류된다. 이 북인도 광해군의 책봉을 지지하는 대북과 영창대군을 지지하는 소북으로 갈라지는데 대북은 또 골북骨北과 육북肉北으로 갈라지는 바, 이는 학통이 당파가 되는 성리학의 특성 때문이었다.

 

위와 같이 광해군이 등극함에 따라 대북이 집권을 하게 되고 이 세력의 산림山林이었던 정인홍은 앞장서서 스승인 남명의 추중推重작업에 나서게 된 게 바로 이 회퇴변척소 사건인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많은 공훈을 세웠던 정인홍은 학자이자 정치가 그리고 의병장으로서 곽재우, 최영경, 오건 등과 함께 남명학파를 대표하는 사람이다. 그는 민생, 민심을 중시하여 왕권 강화를 주창하였던 바, 기축옥사로 인해 광해군 2(1610) 이른바 5현이라 불리던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등을 문묘에 종사하자 스승인 남명이 제외된 것에 불만을 품고, 1611년에 이른바 회퇴변척소晦退辨斥疏를 올렸던 것이다.

 

회퇴변척소 사건 이후 사류士類들의 공론이 정인홍에게서 멀어져 가자 이탈하는 숫자가 더욱 많아지게 되었다. 결국 1620년 인조반정으로 정인홍이 처형되면서 김우옹, 정구 등은 아예 남명학파를 이탈하기 까지 하였다. 이후 남명학파는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더욱이 1728년 무신란이 안음(함양의 옛 이름)과 합천을 중심으로 일어나자 강우지역은 아예 반역향反逆鄕으로 찍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정인홍에 대해 평가 또한 제각각이다. 율곡 이이(1536~1584)강직하나 식견이 밝지 못하니 용맹에 비유한다면 돌격장이 적격이다.”라고 폄하하였으나, 단재 신채호는 정인홍의 평전을 쓰지 못한 게 아쉽다.”고 그의 행적을 높이 평가했고, 근자에 들어 이이화는 동인 그 중에서도 북인 나아가 대북의 영수領袖였던 그를 두고 당색으로는 소북과 남인 그리고 서인의 적이 되었고, 사림士林으로는 퇴계 이황과 회재 이언적의 제자들과 적이 되었고, 이념으로는 사대주의자와 주자학파의 적이 되었다. 이것을 두고 망나니로 몰아붙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와 그의 적들을 이분법으로 구분하면 도가와 유가, 자주파와 사대파, 혁신 세력과 보수 세력, 산림처사 세력과 권력 추구 세력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인홍은 남명의 출처관出處觀의 영향을 받은 인물로 산림의 대부로서 국가에 대한 의리(의병), 왕에 대한 의리(광해군), 스승에 대한 의리(조식)를 일관되게 지켜나갔다. 특히 그의 삶에 있어서 스승 남명과 국왕 광해군은 그가 존재하는 목표이자 이유였다. 정인홍이 무리수를 두면서까지 이언적과 이황에 대한 문묘 출향(黜享 - 위패를 거두어 치우는 일)을 주장하고, 토역(討逆- 역적을 토벌함)의 논리를 전개하면서 궁중에 피를 부른 것은, 스승에 대한 무한한 존경심과 왕에 대한 의리와 충성의 발로였다. 그러나 그의 급진성과 과격성, 반대세력을 조금도 용인하지 않는 비타협성은 오히려 반대세력을 결집시켜주는 빌미를 제공해 주었다.

남명기념관

덕산에 들어서면 마을 전체가 남명의 향기로 가득 찬 느낌이다. 그 입구에 너른 주차장이 보이면서 남명기념관이라는 큰 현판이 붙어 있다. 깨끗하게 정돈된 기념관으로 들어가 볼까.

 

남명기념관은 남명 선생 탄신 500주년을 기념하여 선생의 학덕을 추모하고 선생이 추구하고자 하였던 경의사상敬義思想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사업을 추진하여 20048월에 개관하였다. 기념관 내부에는 남명 선생과 관련된 유물 전시실과 영상정보실, 교육관, 세미나실 등이 있으며, 외부 공간에는 신도비, 남명석상, 여재실 등이 있다.

 

1전시실

남명 선생이 실천하는 학문으로의 전환점이 된 서적들과 경의검敬義劍, 성성자惺惺子 등 남명의 수행과 실천에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2전시실

남명의 가르침을 따랐던 제자들을 주제로 한 전시실로 제자들의 유물과 미니어처 연출, 의병활동과 관련한 조형물을 설치하여 그의 업적을 돌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3전시실

남명정신을 기리고 이어받기 위한 오늘날의 노력과 이에 대한 실천의지를 표현한 공간으로 사숙 및 문인의 유물과 사적의 전경모형을 볼 수 있다. 좌측으로 남명 선생의 동상과 선생의 이력을 담은 글이 비에 새겨져 있다.

 

길을 건너 산천재로 간다. 안으로 들어가 산천재와 남명매를 본다. 남명은 그가 머물면서 후학들을 지도한 곳을 산천재山天齋라 이름했다. 산천이라는 말은 주역에 나오는 말이라고 한다. 에 해당되는 간괘艮卦와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乾卦가 합쳐진 모양이라는 것이다. 괘사卦辭 즉 그 말을 풀어보면 날마다 덕을 새롭게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그러니 남명은 이러한 뜻을 함께 할 수 있는 동반자로 지리산 천왕봉을 택한 것이며 산천재는 지리산 천왕봉을 가장 가까이 두고 좌로는 수양산502.3m, 우로는 검음산(현재의 비룡산554.6m으로 추정)을 각 둔 천혜의 길지로 자신의 뜻을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이었던 것이다. 산천재山天齋란 이름을 이렇게 복잡하게 보는 것보다 그저 선생이 평소 경외해 마지않던 지리산의 과 천왕봉의 서 가져온 이름이라고 하면 너무 단순한가? 물론 필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해석이긴 하다.

 

 

남명매는 지난 구간 단속사에서 본 정당매를 떠올리게 된다. 남명이 손수 심었다는 수령 440년의 매화나무는 남명매로 불리며 원정 하즙이 심었다는 원정매, 정당매와 더불어 산청 3라고 한다는 것은 이미 얘기했다.

 

남명의 고향은 합천 삼가이다. 처가인 김해에 '산해정'을 세우고 문인들 양성에 힘을 기울이던 남명은 12차례에 걸친 지리산행을 통하여 지리산을 경외하며 지리산에 빠져들게 된다. 그러고는 백운동 등 세 곳 정도를 물색하다 결국은 이곳에 정착을 하면서 진주 일대는 남명학파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에게 있어 덕산은 구도의 극처極處인 지리산 천왕봉이 올려다 보이는 이상적 장소였다. 물론 덕산이라는 명칭은 그 이전에도 사용되고 있었겠지만 조식이 거주하면서 명실상부하게 덕이 있는 인물이 사는 골짜기로 인식되었을 게다. 그런 남명은 12회에 걸친 지리산 산행을 바탕으로 유두류록을 씀으로서 지리산을 그의 삶에서 영원한 지주이자 표상 그리고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쯤 되면 남명의 시 한 수를 들어봐도 크게 사치스러울 것 같지는 않다. 그 유명한 두류산가頭流山歌이다.

 

두류산(頭流山) 양단수(兩端水)를 녜 듣고 이제 보니,

도화(桃花) 뜬 맑은 물에 산영(山影)조차 잠겼에라.

아희야, 무릉(武陵)이 어디메뇨 나난 옌가 하노라.

 

남명의 지리산에 대한 경외심의 일부가 위 시에 담겨 있다. 도화나 무릉 같은 시어詩語는 굳이 노장사상을 들추어내지 않더라도 당시의 유학자들에게는 만연한 풍조였을 것이니 우리는 둘레꾼 혹은 산꾼의 입장에서만 파악하면 될 것이다. 당시 관인官人 즉 벼슬아치들 또한 도연명(365~427)의 귀거래를 '물러남'의 가장 모범적인 미덕으로 생각하고 있을 정도였다니 이 정도면 그들의 탈속의지脫俗意志를 어느 정도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니 두류산은 지리산의 다른 말이며 양단수는 좁게는 시천천과 덕천강으로 볼 수도 있으나 지리산이라는 큰 산을 중심에 놓고 거시적으로 봤을 때에는 남강과 섬진강을 이르는 시어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한편 '자연에 귀의한 은둔자, 세속과의 완전한 단절' 같은 참고서參考書的 풀이는 '실천'을 중시한 남명에게는 사치스러운 단어의 나열이며 사실 어울리지도 않다. 다만 그런 시어는 지리에 대한 경외심의 다른 표현이라 이해할 수는 있겠다.

 

산천재를 나와 원리교로 향한다. 좌측으로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덕산 문화의 집을 보면 그 뒤로 구곡산961m이 크게 보이고 그 우측 뒤로는 천왕봉이며 중봉이 연이어 보인다. 구곡산에서 천왕봉으로 향하는 줄기가 바로 구곡능선이라 불리던 황금능선이다.

 

40여 년 전 세석산장 관리인이었던 정원강은 낫 한 자루를 들고 산죽 밭으로 악명이 높던 써리봉~구곡산 등로 개척에 나섰다. 그 가을 어느 날 오후 해가 저물 무렵 써리봉에서 마지막 작업을 마치고 뒤를 돌아보며 땀을 닦을 때, 써리봉에서 국수봉을 지나 구곡산으로 갈자 모양으로 휘어져 가는 능선이 덕천강가로 이어지면서 누런빛으로 반짝이는 모습을 보고 스스로 황금능선이라 이름했다. 당장이라도 구곡산으로 올라 써리봉으로 뛰어 올라가고 싶은 마음만 그득하다. 황금색으로 물결치는 산죽밭의 지루함이 오히려 멋진 분위기를 연출하는 빛의 조화로 그 이름도 구곡능선에서 황금능선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구곡산은 천왕봉에서 중봉, 중봉에서 서흘산, 서흘산에서 구곡산이니 산이 구곡의 충단으로 포개져서 마치 병풍을 둘러놓은 것 같다. 덕천서원의 뒷산이다.

 

우측으로 남명 선생의 묘소 입구를 지나면 덕산 시내는 시외버스터미널이 있고 시천면사무소와 그 유명한 덕산장이 서는 시장을 지난다. 덕산장은 4일과 9일에 열리는 5일장이다. 산청 사람뿐만 아니라 하동의 옥종과 청암 그리고 쌍재를 넘어온 함양 사람들까지도 이 장을 이용했다. 특히 산청 곶감이 거래되는 곶감장이 유명하다. 시장 우측 골목에는 새롭게 단장한 목욕탕이 있는데 목욕탕 입장료를 알게 되면 당장이라도 땀에 전 몸을 씻기 위하여 들어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